시 너머 시

서울에서 살아남기/최금진

songpo 2016. 5. 17. 20:13

서울에서 살아남기

—대학 새내기들을 위하여

최금진

사람들과 통성명을 할 때

돌아와서 후회하지 않으려면 일단 무조건 거만해야 한다

엔젤이라고 발음하는 너의 콩글리시에는 천사가 살지 않는다

서울에 천사가 있다면 그건 CCTV일 것이다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자취방으로 돌아가는 늦은 밤엔

최대한 예쁘게 포즈를 잡아도 좋다, CCTV가 너를 지킨다

젊어 고생은 사서 하는 것인가, 그렇다

고생은 가치 있는 것인가, 아니다

항복, 할복, 무엇이 행복을 위해 더 명예롭고 윤리적인가

학교를 그만둔다 해도 나무랄 사람은 시골에 계신 부모님뿐이고

잉여인간, 너 같은 애들은 값싼 정부미처럼 창고에 넘친다

교양시간에 배운 플라톤을 성공한 사회사업가라고 말해도 좋다

서울에 개나리가 지천으로 핀다고 해서

그게 백합과인지 나리꽃과인지를 고민하는 것은 난센스

아프면 전기장판 깔고, 아스피린 따위의 값싼 약이나 먹고 자라

전기요금은 늙고 병든 네 부모의 몫이니까 마음껏 쓰고

성적 욕망이라고 부르기엔 왠지 거룩한 연애 감정이

가스 배관을 타고 도둑놈처럼 방문을 두드릴 때

다 줘버려도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인생 한 방에 간다

무조건 거만해야 한다

거만하지 않으면 자신만 거만하지 않은 사람이 되는 것이다

항복, 할복, 모든 선택은 성적순이며

지하철역에서 무장공비처럼 누워 자는 사내들도 한때는

전투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들

황달이 든 너의 얼굴과

고향에 지천으로 피던 민들레꽃이 심리적으로 일치할 때

결핍을 상징하는 그 노란색이 아지랑이처럼 자꾸 어른거릴 때

게임 오버, 넌 끝난 거다

서울 시내 CCTV는 일만팔천 대

너 같은 애들은 하루에고 수없이 녹화되고, 재생되고, 지워진다

대학은 나와야 사람 구실 한다고, 네 늙은 아비는 울었지만

빚쟁이로 시작해서 베짱이로 끝나는 대학

열심히 공부해라, 열심히 하다 보면

더 열심히 해야 하는 일만 산더미처럼 쌓이게 될 것이다

입학과 동시에 심각하게 휴학을 고민한 지도 벌써 여러 날

울지 마라, 비로소 너도 서울의 시민이다

—시집『황금을 찾아서』

...........................................................................................................................................................................................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부모를 떠나 대도시로 유학 온다. 젊음과 희망을 무기 삼아 뿌리 내리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참 힘들다. 노력이 부족한 걸까. 그렇다면 더 힘을 내봐야지 생각하지만 다리가 후들거린다. 언제까지 전력 질주해야 할지 끝이 보이질 않는다. 지쳐 간다. 이 시의 주인공처럼 말이다.

여기 등장하는 젊은이는 대학 새내기이다. 대학에 낭만이 사라진 지 오래. 그는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고 혼자 자취방에 들어가 잠을 잔다. 공부하고 돈 벌고 희망하고 절망하는 등 그의 24시간은 불이 꺼지지 않는 편의점만큼이나 바쁘다. 그런데 열심히 해도 삶은 나아지지 않는다. 너무 힘들어 학교를 그만둘까 생각해 보지만 딱히 대안이 없다. 누렇게 뜬 거울 속 얼굴을 보니 고향 마을의 민들레꽃이 그립다. 어린 시절 고향의 삶은 더 행복했다. 다시 돌아가고 싶다 생각하니 사람들은 말한다. 패배자, 넌 이제 끝난 거야, 라고.

‘게임 오버’ 되었으니 이제 삶은 끝장난 것일까. 우리는 민들레한테 돌아갈 수 있을까. 그런데 절망도 슬픔도 이 시의 목적은 아니다. 이 시는 슬픈 시가 아니라 화가 난 시다. 그리고 화를 현명하게 내려면 똑바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시다. 시에 의하면 눈을 크게 뜨고 직시해야 한다. 나, 너, 우리, 사회, 시대에 대해 눈을 감지 말자, 마음아.

 

나민애 (문학평론가)

'시 너머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송찬호  (0) 2016.06.05
국물/신달자  (0) 2016.06.01
달은 아직 그 달이다 /이상국  (0) 2016.05.12
살아남은 자의 슬픔/최금진  (0) 2016.05.01
식사법/김경미  (0) 2016.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