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오 은
괄호를 열고
비밀을 적고
괄호를 닫고
비밀은 잠재적으로 봉인되었다
정작 우리는
괄호 밖에 서 있었다
비밀스럽지만 비밀하지는 않은
들키기는 싫지만
인정은 받고 싶은
괄호는 안을 껴안고
괄호는 바깥에 등을 돌리고
어떻게든 맞붙어 원이 되려고 하고
괄호 안에 있는 것들은
숨이 턱턱 막히고
괄호 밖 그림자는
서성이다가
꿈틀대다가
출렁대다가
꾸역꾸역 괄호 안으로 스며들고
우리는 스스로 비밀이 되었지만
서로를 숨겨 주기에는
너무 가까이 있었다
...................................................................................................................................................................................
'우리'라는 단어를 기호로 표시하면 괄호가 된다. 우리는 모두 조그만 괄호로, 커다란 괄호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사이에는 일정한 비밀이 봉인되어 있다. 괄호는 아가리를 벌리면 한없이 커지기도 하는데, 그 안에 우주가 통째로 들어가고도 남는다. 그러나 아무리 큰 괄호라 해도 "우리는 스스로 비밀이 되었지만/ 서로를 숨겨 주기에는/ 너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숨이 막힌다. 그것이 우리끼리 싸우는 이유다. 누구나 이 시를 읽으면 복잡한 사회학 서적을 열 권 읽고 난 복잡한 얼굴이 될 것이다.
최호일 (시인)
'시 너머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은의 「생일」감상 /장석남 (0) | 2019.08.05 |
---|---|
전생 /박시하 (0) | 2019.06.22 |
적용되는 포도/임승유 (0) | 2019.01.01 |
우리의 소통은 로큰 롤 / 김송포 (0) | 2018.11.29 |
고트호브에서 온 편지 /안희연 (0) | 2018.11.29 |